10만원 기부 시 세금 혜택은?

 

기부는 따뜻한 마음의 표현일 뿐 아니라 세금 혜택이라는 실질적인 보상도 받을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 국세청이 인정하는 기부금 종류와 공제 한도는 무엇이고, "10만 원 기부하면 실제 세금이 얼마나 줄어드는가?"를 구체적으로 알려드릴게요.


기부금 세액공제 vs 소득공제, 뭐가 다를까?

  • 소득공제: 총소득에서 일정 금액을 빼서 과세표준을 줄이는 방식
  • 세액공제: 산출된 세금에서 직접 일정 금액을 빼주는 방식

따라서 세액공제는 체감 절세 효과가 더 큽니다.
2025년 현재 대부분의 기부금은 세액공제 대상입니다.

 

기부금의 종류별 공제율 (2025년 기준)

기부금 유형 공제 방식 공제율 공제 한도
법정기부금 소득공제 100% 한도 없음
지정기부금 세액공제 15% (1천만 원 이하)
30% (1천만 원 초과)
소득의 30% 이내
정치자금 기부 세액공제 10만 원 이하: 100/110
10만 원 초과: 15%
3천만 원 초과: 25%
개인당 최대 500만 원
종교단체 기부 세액공제 (지정기부금) 15% 또는 30% 지정기부금 한도 내

💡 법정기부금 예시: 대한적십자사, 재해구호협회, 국방성금 등
💡 지정기부금 예시: 사회복지법인, 학교, 문화예술단체, 종교단체 등

 

소득공제 vs 세액공제

 

10만 원 기부하면 실제 얼마나 돌려받을까?

2025년 기준, 연 소득 4,000만 원 직장인이 지정기부금 10만 원을 냈다면?

  • 10만 원의 15% = 15,000원 세액공제
  • 실제 세금 부담이 15,000원 줄어듦

총기부금이 1천만 원을 초과하면, 초과분은 30% 공제가 적용됩니다.
정치자금 기부금의 경우 10만 원까지는 100/110 방식으로 전액 세액공제!

 

연봉별 기부금 세액공제 예시

연봉 기부금 100,000원 세액공제액
3,000만 원 15,000원
5,000만 원 15,000원
1억 원 (1천만 원 초과 기부) 30,000원

 

기부금 공제받으려면 꼭 챙겨야 할 것

  • 기부금 영수증은 반드시 국세청 등록 단체에서 발급받을 것
  •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등록 여부 확인
  • 현금영수증이나 카드결제 기록은 보조 자료로만 활용

 

기부금 이월공제 되나요?

기부금은 이월공제가 불가능합니다.
한 해에 공제한도 초과분이 있어도 다음 해로 넘길 수 없어요.
따라서 한 해 기준으로 기부금 공제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 종교단체에 기부한 것도 공제되나요?

→ 네, 종교단체는 ‘지정기부금’으로 분류되며, 간소화 서비스에 등록된 단체라면 공제됩니다.

Q. 내가 낸 기부금이 공제 대상인지 어떻게 확인하나요?

→ 국세청 홈택스 >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 단체명 또는 사업자등록번호로 확인 가능합니다.

Q. 기부금은 카드 결제 내역만 있어도 되나요?

→  아닙니다. 반드시 기부금 영수증이 필요하며, 카드 내역은 보조용입니다.


마무리 

  • 기부금은 세액공제 또는 소득공제 대상
  • 정치자금 기부는 10만 원까지 전액 세액공제
  • 종교단체, 학교, 복지기관 등은 지정기부금으로 최대 30% 공제
  • 기부금은 이월 불가! 매년 정산 필수

기부는 마음도 따뜻해지고 세금도 줄일 수 있는 현명한 선택입니다.
올해 한 기부, 세금 혜택 꼭 챙기세요!


※ 참고자료

- 국세청 홈택스 https://www.hometax.go.kr

- 기획재정부 보도자료 (2025년 세법 개정안)

-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안내서

 

 

본 글은 티스토리 블로그 경제 센스 연구소에서 제공하는 정보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