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기초연금,농지연금 수급조건 완전 정리

 

2025년 4월 현재, 많은 고령층이 국민연금 외의 또 다른 노후 보장 수단을 찾고 있습니다.

특히 '기초연금'과 '농지연금'은 상대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실제로 수급 가능한 사람들에게는 큰 도움이 되는 제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가지 제도를 최신 정보 기준으로 비교 정리하고, 수급 자격과 신청 절차, 받을 수 있는 금액 등을 실용 중심으로 안내합니다.


기초연금: 소득 하위 70%를 위한 국가 보조 연금

 

기초연금이란?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고령자 중 소득인정액이 하위 70% 이하인 사람에게 정부가 매월 일정 금액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 지급 대상: 만 65세 이상 + 대한민국 국적 + 국내 거주
  • 2025년 4월 기준 최대 월 지급액: 월 342,510원
  • 소득 기준: 단독가구 월 228만 원 이하, 부부가구 월 364.8만 원 이하
용어설명 :
소득인정액: 실제 소득 + 재산의 소득환산액

 

신청 방법: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국민연금공단 지사 또는 복지로 누리집(www.bokjiro.go.kr)에서 신청 가능. 만 65세 생일이 속한 달의 1개월 전부터 신청 가능.

 

기초연금, 농지연금 수급조건


농지연금: 은퇴 농민을 위한 월지급형 연금 제도

농지연금이란?

고령의 농업인이 본인 소유의 농지를 담보로 맡기고, 매달 연금을 받는 제도입니다.

국민연금이나 기초연금과는 달리, 부동산 자산을 활용한 노후보장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대상: 만 60세 이상 농업인 + 5년 이상 영농경력 + 농지 보유
  • 지급 방식: 종신형, 기간형, 수시인출형 등 다양한 선택 가능
  • 월 수령액 예시 (2025년 기준): 농지 평가액 1억 원 기준, 약 월 47만 원
용어설명 :
종신형/기간형: 사망 시까지 vs 정해진 기간(10~30년) 동안 지급하는 방식

 

신청 방법:

농지 소재지 관할 한국농어촌공사 지사 또는 농지연금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 가능.

 

기초연금 수급자 혜택


기초연금 vs 농지연금 비교표

항목 기초연금 농지연금
대상 연령 만 65세 이상 만 60세 이상
소득/자산 기준 중위소득 70% 이하 소득 무관, 농지 자산 필요
지급방식 현금 지급 담보 제공 후 월 연금 지급
최대 수령액 월 34.2만 원 농지 규모 따라 월 약 40~80만 원

 

용어설명 :
중위소득: 전체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중간값

부부가 함께 수급하는 경우 불이익은?

부부가 함께 기초연금을 수령할 경우, 부부감액 기준에 따라 각각 20%씩 감액되어 지급됩니다.

즉, 단독가구보다 부부가구일수록 월 지급액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실제 수급자 사례로 보는 연금 전략

  • 📍 김OO(72세, 단독가구): 국민연금 미가입자, 기초연금 월 34.2만 원 수급
  • 📍 이OO(68세, 전업 농부): 본인 소유 농지로 농지연금 월 72만 원 수령
  • 📍 박OO 부부: 부부 모두 기초연금 수급자, 부부감액 적용 후 합산 약 54.7만 원 수령

기초연금 수급자가 받을 수 있는 추가 혜택

  • 지하철·시내버스 무료 이용 (지역별)
  • 장기요양보험 본인부담금 감경
  • 보청기, 의치, 검진 등 건강보조기기 지원
  • 난방·전기요금 감면 등 공공요금 할인

※ 참고자료

- 보건복지부 기초연금 안내서 (2025.4 기준)
- 한국농어촌공사 농지연금 공식 사이트 (https://www.farmland.or.kr)
- 복지로 공식 누리집 (https://www.bokjiro.go.kr)

🏷️ 태그

#기초연금 #농지연금 #노후대비 #2025복지제도 #정부지원금 #고령층복지 #경제센스연구소

📌 본 글은 블로그 『경제 센스 연구소』에서 작성되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