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현재, 많은 고령층이 국민연금 외의 또 다른 노후 보장 수단을 찾고 있습니다.
특히 '기초연금'과 '농지연금'은 상대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실제로 수급 가능한 사람들에게는 큰 도움이 되는 제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가지 제도를 최신 정보 기준으로 비교 정리하고, 수급 자격과 신청 절차, 받을 수 있는 금액 등을 실용 중심으로 안내합니다.
기초연금: 소득 하위 70%를 위한 국가 보조 연금
기초연금이란?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고령자 중 소득인정액이 하위 70% 이하인 사람에게 정부가 매월 일정 금액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 지급 대상: 만 65세 이상 + 대한민국 국적 + 국내 거주
- 2025년 4월 기준 최대 월 지급액: 월 342,510원
- 소득 기준: 단독가구 월 228만 원 이하, 부부가구 월 364.8만 원 이하
용어설명 :
소득인정액: 실제 소득 + 재산의 소득환산액
신청 방법: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국민연금공단 지사 또는 복지로 누리집(www.bokjiro.go.kr)에서 신청 가능. 만 65세 생일이 속한 달의 1개월 전부터 신청 가능.
농지연금: 은퇴 농민을 위한 월지급형 연금 제도
농지연금이란?
고령의 농업인이 본인 소유의 농지를 담보로 맡기고, 매달 연금을 받는 제도입니다.
국민연금이나 기초연금과는 달리, 부동산 자산을 활용한 노후보장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대상: 만 60세 이상 농업인 + 5년 이상 영농경력 + 농지 보유
- 지급 방식: 종신형, 기간형, 수시인출형 등 다양한 선택 가능
- 월 수령액 예시 (2025년 기준): 농지 평가액 1억 원 기준, 약 월 47만 원
용어설명 :
종신형/기간형: 사망 시까지 vs 정해진 기간(10~30년) 동안 지급하는 방식
신청 방법:
농지 소재지 관할 한국농어촌공사 지사 또는 농지연금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 가능.
기초연금 vs 농지연금 비교표
항목 | 기초연금 | 농지연금 |
---|---|---|
대상 연령 | 만 65세 이상 | 만 60세 이상 |
소득/자산 기준 | 중위소득 70% 이하 | 소득 무관, 농지 자산 필요 |
지급방식 | 현금 지급 | 담보 제공 후 월 연금 지급 |
최대 수령액 | 월 34.2만 원 | 농지 규모 따라 월 약 40~80만 원 |
용어설명 :
중위소득: 전체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중간값
부부가 함께 수급하는 경우 불이익은?
부부가 함께 기초연금을 수령할 경우, 부부감액 기준에 따라 각각 20%씩 감액되어 지급됩니다.
즉, 단독가구보다 부부가구일수록 월 지급액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실제 수급자 사례로 보는 연금 전략
- 📍 김OO(72세, 단독가구): 국민연금 미가입자, 기초연금 월 34.2만 원 수급
- 📍 이OO(68세, 전업 농부): 본인 소유 농지로 농지연금 월 72만 원 수령
- 📍 박OO 부부: 부부 모두 기초연금 수급자, 부부감액 적용 후 합산 약 54.7만 원 수령
기초연금 수급자가 받을 수 있는 추가 혜택
- 지하철·시내버스 무료 이용 (지역별)
- 장기요양보험 본인부담금 감경
- 보청기, 의치, 검진 등 건강보조기기 지원
- 난방·전기요금 감면 등 공공요금 할인
※ 참고자료
- 보건복지부 기초연금 안내서 (2025.4 기준)
- 한국농어촌공사 농지연금 공식 사이트 (https://www.farmland.or.kr)
- 복지로 공식 누리집 (https://www.bokjiro.go.kr)
🏷️ 태그
#기초연금 #농지연금 #노후대비 #2025복지제도 #정부지원금 #고령층복지 #경제센스연구소
📌 본 글은 블로그 『경제 센스 연구소』에서 작성되었습니다.
'정부지원&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몰라서 손해 보는 2025년 육아 복지 제도 7가지] 맞벌이·외벌이 모두 가능 (0) | 2025.04.24 |
---|---|
“팔고 싶어도 무섭고 막막하다” – 고령층 ‘다운사이징’이 필요한 이유 (0) | 2025.04.23 |
[청년도약계좌 vs 청년내일저축계좌] 뭐가 더 이득일까? 2025년 기준 비교 (1) | 2025.04.20 |
[비혼·1인 가구 증가에 따라 달라진 주거·의료 지원 제도 2025] (0) | 2025.04.20 |
2025년 국민취업지원제도 | 실직자·구직자에게 현금으로 지원합니다. (2)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