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정보&재테크

[2025년 4월 금값 폭등] 왜 지금 금에 돈이 몰릴까? 안전자산으로 몰리는 이유 총정리

SenseLab 2025. 4. 23. 14:00

금값 사상최고치 갱신

 

2025년 4월 현재, 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연일 경신하고 있습니다.

트로이온스당 $3,384를 돌파한 금은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재조명받고 있습니다.

국내 골드뱅킹 잔액도 1조 원을 돌파하며 개인·기관 투자자 모두 금에 눈을 돌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용어설명 :
트로이온스(Troy ounce) : 금 거래에 사용하는 국제 표준 단위로, 1트로이온스는 약 31.1g입니다.

 

2025 금값 급등 이유

1. 금값은 얼마나 올랐을까?

2025년 4월 21일 기준,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국제 금값은 트로이온스당 $3,384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2023년 말 약 $2,000 수준에서 1년 반 만에 69% 이상 급등한 수치입니다.

  • 2023년 12월: 약 $2,000
  • 2024년 12월: 약 $2,400
  • 2025년 4월: 약 $3,384 (현재)

 

골드뱅킹 잔액도 사상 최대

국내 주요 시중은행의 골드뱅킹 계좌 잔액은 2025년 3월 말 기준으로 1조 원을 돌파했습니다.

이는 금 관련 상품에 대한 관심이 실물 수요뿐만 아니라 금융상품 수요까지 폭넓게 확대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용어설명 :
골드뱅킹 : 실물 금 없이 금의 시세에 연동된 금 보유량을 통장으로 거래하는 상품

 

2. 국내 금값은 얼마일까?

2025년 4월 21일 기준, 국내 금 시세는 1g당 약 154,430원입니다.

이는 국제 금 시세와 원/달러 환율(약 1,350원)에 더해 국내 수요, 세공비, 유통 수수료 등이 반영된 실거래가입니다.

참고로 국제 시세를 단순 환산한 가격보다 5~10% 이상 높을 수 있습니다.

 

3. 금값 급등의 주요 원인은?

금값이 오르는 데는 단순한 ‘유행’이 아닌, 명확한 거시경제 요인들이 존재합니다.

  1.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
    트럼프 행정부의 복귀와 함께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104%의 관세를 부과하고, 유럽 및 동아시아에도 무역장벽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인 공급망 우려가 재점화되고 있습니다.
  2. 달러 약세와 금리 인하 기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가능성과 달러 약세 흐름은 금의 상대적 가치와 투자 매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3.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중동 분쟁 고조, 미중 갈등 심화 등으로 인해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폭증하고 있습니다.
  4. 중앙은행과 기관의 금 매입
    중국 인민은행, 인도중앙은행 등은 외환보유고의 다변화를 위해 대규모 금 매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는 시장 가격에 강한 지지선을 형성합니다.
  5. 개인 투자자의 관심 급증
    ETF, 골드뱅킹, 실물 골드바 구매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개인들의 ‘금테크’가 늘고 있습니다.

 

금 투자 방법 3가지

 

4. 금에 투자하는 방법은?

2025년 현재, 금에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일반 투자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어요.

 

① 골드뱅킹

시중은행에서 제공하는 금 통장입니다. 1g 단위로 거래 가능하고, 실시간 금 시세에 따라 자동 환산되며 통장에 금 보유량이 표시됩니다.

 

② 금 ETF

대표적인 국내 ETF로는 TIGER 금선물(H), KODEX 골드선물(H) 등이 있으며, 주식 계좌를 통해 손쉽게 매매가 가능합니다.

 

③ 실물 금(골드바)

금거래소, 백화점, 은행 등에서 실물 금을 직접 구매할 수 있습니다. 단, 부가가치세와 수수료가 발생하므로 매수/매도 타이밍을 잘 고려해야 합니다.

 

용어설명 :
ETF(Exchange Traded Fund) : 주식처럼 거래 가능한 펀드로, 금 ETF는 금 가격에 따라 수익이 연동됩니다.

 

5. 인기 금 ETF 비교

종목명 운용사 보수 특징
TIGER 금선물(H) 미래에셋 0.45% 미 달러 금 선물에 투자 (환헤지 적용)
KODEX 골드선물(H) 삼성자산운용 0.45% 금 선물 투자, 변동성 낮춤

 

6. 앞으로 금값은 어떻게 될까?

현재 금값 상승은 단기적인 ‘테마’가 아니라, 장기적인 불확실성 리스크에 대한 반영으로 보는 전문가들이 많습니다.

특히 미국 기준금리 인하가 본격화될 경우, 금값은 더 오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지정학 리스크가 해소되지 않는다면 금 가격은 장기적으로도 우상향 가능성이 높습니다.” — 김지훈, KB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 (2025.4.19 인터뷰 中)

 

단, 유의할 점

- 금은 이자를 주지 않는 자산이므로 단기 수익률보다는 자산 분산,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가격이 단기간 급등했기 때문에, 단기 매수는 리스크 관리 필요합니다.


7. 자주 묻는 질문 (FAQ)

Q. 지금 금을 사는 게 너무 늦은 건 아닐까요?

→ 전문가들은 “단기 차익보다는 자산 분산 목적이라면 지금도 괜찮다”라고 조언합니다.

Q. 금 ETF와 골드뱅킹 중 뭐가 더 나을까요?

ETF는 매매 유동성이 좋고, 골드뱅킹은 1g 단위로 적립이 가능합니다. 목적에 따라 다릅니다.

 


※ 참고자료

- Reuters, Gold hits record $3,384 amid trade war fears (2025.04.21)

- 한국거래소 · 신한은행 금 시세 (2025.04.21 기준 이미지 확인)

- 뉴스1, “골드뱅킹 잔액 1조 원 돌파” 보도 (2025.04.21)

- KB증권, 2025년 4월 금 시장 전망 리서치

 

 

© 경제 센스 연구소 | 본 글은  ‘경제 센스 연구소’에서 제공했습니다.